반응형 중세 철학의 시작2 교황 그레고리우스 1세의 삶과 철학적 유산 [#서양철학사 29] 서로마 제국의 몰락 이후 혼란스러운 시기에 교회와 사회의 안정을 가져온 지도자를 꼽으라면 교황 그레고리우스 1세(Gregorius PP. I, 약 540-604년)를 들 수 있습니다. 종종 ‘대(大) 그레고리오’(Gregorio Magno)라고 불리는 그레고리우스(그레고리오) 1세는 서양 철학사에서 고대 철학과 중세 철학을 연결하는 중요한 다리 역할을 했습니다. 오늘 포스팅에서는 그레고리우스 1세의 생애부터 그의 철학적 사상, 교회 개혁, 그리고 서양 사상사에 미친 영향까지 살펴보고자 합니다. 서로마 제국의 몰락 이후 혼돈의 시대에 그레고리우스 1세가 어떻게 기독교 철학의 기반을 다지고 중세 사상의 토대를 마련했는지 함께 탐구해 보겠습니다.로마의 귀족에서 교황으로: 그레고리우스의 초기 생애그레고리우스는 .. 서양 철학사 시리즈 2025. 4. 1. 더보기 ›› 보에티우스: 서양 사상의 마지막 로마인이자 첫 중세인 [#서양철학사 25] 아니키우스 만리우스 세베리노스 보에티우스(Anicius Manlius Severinus Boethius, 약 477-524)는 고대와 중세를 잇는 결정적인 교량 역할을 한 사상가입니다. 그는 종종 “마지막 로마인이자 첫 스콜라 학자”라고 불립니다.아리우스파와 칼케돈파의 갈등이 부른 억울한 누명476년 서로마 제국의 마지막 황제인 로물루스 아우구스툴루스를 축출하고 서로마 제국을 멸망시킨 고트족의 지도자 오도아케르. 그가 이탈리아를 다스린 지 17년이 흐른 493년, 결국 동로마 황제 제논에게 군권을 위임받은 동고트의 테오도리쿠스(Theodoric)에게 살해당함으로써, 이탈리아는 테오도리쿠스의 손에 떨어지게 됩니다.고트족인 테오도리쿠스는 아리우스파 신자였습니다. 그래서 칼케돈 기독교 신자인 로마 황제와는 종.. 서양 철학사 시리즈 2025. 3. 20. 더보기 ›› 반응형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