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중세 기독교 철학2

고대와 중세 철학의 과도기에 펼쳐진 치열한 그리스도론 논쟁 [#서양철학사 23]

그리스도론 문제는 4세기에서 7세기까지 무려 300년 넘게 이어지면서 교회를 분열에 빠뜨린 대 논쟁으로, 공식적으로는 3차 콘스탄티노폴리스 공의회에서 종결되었습니다. 그리스도론은 그리스도의 신성과 인성에 관한 기독교의 핵심 교리로, 이 논쟁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당시 로마 제국이 처한 복잡한 상황을 이해할 필요가 있습니다. 서양사에서 중세는 일반적으로 476년 서로마 제국의 멸망부터 1453년 동로마 제국의 멸망까지로 보고 있습니다. 특히 4~6세기 게르만 민족의 대이동으로부터 로마 제국의 몰락으로 이어지는 과도기적 시기는 기독교 철학의 형성에 있어 매우 중요한 의미를 품고 있습니다.기독교가 유럽 사회에 확산하는 과정에서, 콘스탄티누스 황제가 313년 밀라노 칙령으로 기독교를 공인하였지만, 여전히 그 위치.. 서양 철학사 시리즈 2025. 3. 12.

아우구스티누스의 믿음과 이해의 철학: 진리를 향한 조화로운 길 [#서양철학사 22]

아우구스티누스의 생애와 시대적 배경성 아우구스티누스 혹은 히포의 아우구스티누스(Augustine of Hippo, 354-430)는 고대에서 중세로 넘어가는 시기 로마에서 활동한 여러 교부철학자 중 한 명이지만 철학사적으로 보았을 때 서양 사상의 한 정점을 이루었다고 말할 수 있는 위대한 사상가였습니다. 그는 현재 알제리 수크아라스 지역인 북아프리카의 타가스테(Thagaste)에서 태어났으며, 로마의 관원으로 이교도 출신인 아버지와 독실한 기독교인 어머니 모니카 사이에서 성장했습니다. 아우구스티누스가 살았던 시기는 로마 제국이 쇠퇴하고 기독교가 점차 주류 종교로 자리잡아가는 과도기였습니다. 특히 410년 로마의 함락은 그의 사상 형성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으며, 이에 대한 응답으로 그의 대표작 『신국론(D.. 서양 철학사 시리즈 2025. 3. 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