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서양 철학사 시리즈29 교황 그레고리우스 1세의 삶과 철학적 유산 [#서양철학사 29] 서로마 제국의 몰락 이후 혼란스러운 시기에 교회와 사회의 안정을 가져온 지도자를 꼽으라면 교황 그레고리우스 1세(Gregorius PP. I, 약 540-604년)를 들 수 있습니다. 종종 ‘대(大) 그레고리오’(Gregorio Magno)라고 불리는 그레고리우스(그레고리오) 1세는 서양 철학사에서 고대 철학과 중세 철학을 연결하는 중요한 다리 역할을 했습니다. 오늘 포스팅에서는 그레고리우스 1세의 생애부터 그의 철학적 사상, 교회 개혁, 그리고 서양 사상사에 미친 영향까지 살펴보고자 합니다. 서로마 제국의 몰락 이후 혼돈의 시대에 그레고리우스 1세가 어떻게 기독교 철학의 기반을 다지고 중세 사상의 토대를 마련했는지 함께 탐구해 보겠습니다.로마의 귀족에서 교황으로: 그레고리우스의 초기 생애그레고리우스는 .. 서양 철학사 시리즈 2025. 4. 1. 더보기 ›› 성 베네딕투스와 서방 수도원 전통의 확립 [#서양철학사 28] 서방 수도원 전통에서 가장 중요한 인물을 꼽으라면, 성 베네딕투스(St. Benedictus, 480-547)를 들 수 있을 것입니다. 한국에는 ‘분도(芬道)’라는 이름으로도 알려져 있습니다. 로마에서 공부하던 시절 도시의 부패에 실망하여 수비아코(Subiaco) 근처 동굴에서 은둔 생활을 시작한 그는 후에 몬테 카시노(Monte Cassino)에 수도원을 설립한 인물입니다.성 베네딕투스 , 영혼의 사막으로 가다베네딕투스는 약 480년 이탈리아 중부 눌시아(Nursia, 현재의 노르치아 Norcia)에서 귀족 가문의 자제로 태어났습니다. 당시 로마 제국은 서서히 몰락하고 있었고, 게르만족의 침입과 내부 부패로 사회적 혼란이 가중되던 시기였습니다. 부유한 가정 환경 덕분에 베네딕투스는 로마에서 수사학과 .. 서양 철학사 시리즈 2025. 3. 22. 더보기 ›› 초기 수도회의 발전과 사상: 고요한 사막에서 피어난 철학 [#서양철학사 27] 4세기 로마제국의 기독교 공인 이후, 세속화되어가는 교회에 대한 반작용으로 수도원 운동(monasticism)이 활발히 전개되었습니다. 당시 로마제국은 내부적으로 사회적 혼란과 도덕적 타락이 만연했고, 이러한 상황에서 순수한 기독교 신앙을 추구하려는 사람들이 세속과 단절된 삶을 추구하기 시작했습니다.고대 말기(Late Antiquity)라 불리는 이 시기에 수도원 운동이 발생한 이유는 다양합니다. 콘스탄티누스 대제(Constantine the Great)의 기독교 공인 이후, 교회는 점차 세속적 권력과 결합하면서 초기 기독교의 순수성과 열정을 잃어갔다는 견해가 있었습니다. 그 결과 진정한 신앙을 갈구하는 사람들은 도시의 타락한 환경을 떠나 광야나 사막으로 이동하였고, 고행과 명상의 삶을 통해 하나님과의 .. 서양 철학사 시리즈 2025. 3. 22. 더보기 ›› 유스티니아누스 대제: 로마법의 체계화와 비잔틴 제국의 철학적 기반 [#서양철학사 26] 동로마 제국(비잔틴 제국)의 황제 유스티니아누스 1세(Justinianus I, 527-565)는 서로마 제국의 영토를 최대한 수복함으로써 ‘우리의 바다(Mare Nostrum: 지중해를 뜻함)’를 대체로 재현한 정복 군주입니다. 그는 “제국을 복원하리라”는 구호 아래 벌인 수많은 사업을 자신의 계획대로 추진한 인물로 요약됩니다. 내치에 있어 그의 가장 중요한 업적 중 하나는 『로마법 대전』이라 불리는 『유스티니아누스 법전(Corpus Juris Civilis)』을 편찬한 일입니다. 로마법을 체계적으로 정리하여 오늘날에도 통용되는 ‘민법(民法)’이라는 법체계의 기반을 닦은 법전으로 평가되기도 하는 이 법전은, 공법(公法)과 사법(私法)을 분리하여 후대 서양 법철학의 기초를 형성하였습니다.로마법을 체계화하.. 서양 철학사 시리즈 2025. 3. 20. 더보기 ›› 보에티우스: 서양 사상의 마지막 로마인이자 첫 중세인 [#서양철학사 25] 아니키우스 만리우스 세베리노스 보에티우스(Anicius Manlius Severinus Boethius, 약 477-524)는 고대와 중세를 잇는 결정적인 교량 역할을 한 사상가입니다. 그는 종종 “마지막 로마인이자 첫 스콜라 학자”라고 불립니다.아리우스파와 칼케돈파의 갈등이 부른 억울한 누명476년 서로마 제국의 마지막 황제인 로물루스 아우구스툴루스를 축출하고 서로마 제국을 멸망시킨 고트족의 지도자 오도아케르. 그가 이탈리아를 다스린 지 17년이 흐른 493년, 결국 동로마 황제 제논에게 군권을 위임받은 동고트의 테오도리쿠스(Theodoric)에게 살해당함으로써, 이탈리아는 테오도리쿠스의 손에 떨어지게 됩니다.고트족인 테오도리쿠스는 아리우스파 신자였습니다. 그래서 칼케돈 기독교 신자인 로마 황제와는 종.. 서양 철학사 시리즈 2025. 3. 20. 더보기 ›› 이전 1 2 3 4 ··· 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