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29

플라톤과 이데아의 세계, 고대 그리스 철학의 정점에 오르다 [#서양철학사 9]

안녕하세요, 오늘은 서양 철학의 가장 중요한 인물 중 하나인 플라톤(Plato, 427-347 BCE)과 그의 사상에 대해 깊이 있게 살펴보려 합니다. 특히 그의 철학이 당시 그리스 식민지 시대의 역사적, 문화적 맥락 속에서 어떻게 형성되었는지를 중점적으로 알아보겠습니다.플라톤의 생애와 시대적 배경플라톤은 기원전 427년경 아테네(Athens)의 부유한 귀족 가문에서 태어났습니다. 그의 본명은 아리스토클레스(Aristocles)였으나, 그의 넓은 어깨 때문에 ‘넓다’는 뜻의 ‘플라톤’이라는 별명으로 더 잘 알려지게 되었습니다. 그의 생애는 펠로폰네소스 전쟁(Peloponnesian War, 431-404 BCE) 이후 아테네가 쇠퇴하고, 그리스 도시국가들이 식민지를 확장하던 격동의 시기와 맞물려 있습니다.. 서양 철학사 시리즈 2025. 2. 12.

소크라테스의 철학 세계: 덕의 추구와 끝없는 진리의 탐구 [#서양철학사 8]

안녕하세요, 오늘은 ‘철학자’하면 떠오르는 대표적인 인물인 소크라테스(Socrates, BC 470-399)의 사상에 대해 살펴보고자 합니다. 소크라테스는 당대 소피스트들과 마찬가지로 철학의 관심을 자연에서 인간으로 돌린 대표적 철학자로, 자연철학자들의 우주론적 질문들을 인간 중심의 윤리적 탐구로 전환함으로써 윤리학의 기초를 닦은 위대한 사상가입니다.소크라테스의 철학적 전환: 자연철학에서 인간철학으로밀레토스 학파, 다원론적 학파 등 앞선 글들에서 고대 그리스 철학의 지적 유산들을 살펴보면서 알 수 있었던 바와 같이 소크라테스 이전의 철학자들, 이른바 자연철학자들은 주로 우주의 근원(arche)이 무엇인지, 세계는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지와 같은 자연 현상에 관심을 기울였습니다. 탈레스(Thales)가 물을.. 서양 철학사 시리즈 2025. 2. 11.

소피스트와 인문정신의 시작: 최초의 전문 교육자들 [#서양철학사 7]

안녕하세요, 지난 포스팅에서 다룬 엘레아 학파의 존재론적 사유, 다원론적 학파들의 우주론에서 이제 우리의 관심을 인간과 사회로 돌려볼 시간입니다. 오늘은 바로 인문정신의 시초이자 상고시대(Antic)에서 고전시대(Classic)로 넘어가는 시점에서부터 눈부시게 활약한 소피스트(Sophist)들에 대해 이야기하고자 합니다. 소피스트 운동의 역사적 배경과 의의상고시대와 고전시대를 가르는 분기점이 되었던 페르시아 전쟁(기원전 492-449년)이 끝난 후, 아테네는 전례 없는 번영기를 맞이했습니다. 델로스 동맹(Delian League)의 맹주로서 지중해의 패권을 장악한 아테네는 정치, 경제, 문화의 중심지로 부상했습니다. 특히 페리클레스(Pericles) 시대에 이르러 민주정이 꽃을 피우면서, 시민들의 정치 .. 서양 철학사 시리즈 2025. 2. 10.

엠페도클레스에서 원자론자들까지, 고대 그리스의 다원적 우주론 [#서양철학사 6]

안녕하세요. 오늘은 고대 그리스 철학사에서 중요한 전환점이 된 식민지 시대의 다원론적 학파들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지금까지 살펴본 바와 같이 밀레토스, 에페소스 등 이오니아 지방(오늘날 튀르키예 지역)의 철학자들이 탐구에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한 것은 세상을 구성하는 가장 근본(arche)이 무엇인가 하는 문제였습니다. 탈레스는 ‘물’이라고 했고, 아낙시만드로스는 ‘무한정자’, 아낙시메네스는 ‘공기’라고 했습니다. 또 헤라클레이토스는 ‘불’을 세상의 근원으로 주장하기도 했습니다. 이러한 철학적 시도에 반기를 든 세력이 이른바 ‘다원론자들(Pluralists)’입니다. 세상은 하나가 아닌 여러 근원 요소들의 상호작용이라는 것이지요. 또 한편으로는 지난 포스팅에서 다루었던 “만물은 유전한다”라고 주장했던 헤.. 서양 철학사 시리즈 2025. 2. 7.

헤라클레이토스, 만물유전(萬物流轉)의 철학자가 피워 올린 생성의 불꽃 [#서양철학사 5]

“같은 강물에 두 번 발을 담글 수 없다”라는 말을 들어보셨나요? 이 말은 오늘 다룰 고대 그리스 철학자 헤라클레이토스가 한 유명한 말로, 만물의 끊임없는 변화와 흐름을 상징합니다. 쉽게 말하자면 우리가 보는 강물은 계속 흘러가고 있기 때문에 한 번 발을 담그면 내가 담갔던 물은 이미 흘러가 버리고, 두 번째 발을 담갔을 때 만나는 물은 이전에 담갔던 물과는 다른 물이라는 뜻입니다. 사실 관점을 바꿔 보면 강물의 입장에서도 마찬가지일 듯합니다. 이전에 들어왔던 발이 ‘그의 발’이라면 나중에 들어온 발도 ‘그의 발’일까요? 그 사이에 아무것도 변하지 않았을까요? 또한 두 발이 동일하다는 증거는 어디서 찾을 수 있을까요? 헤라클레이토스의 짧지만 강한 이 한 문장이 주는 의미는 참 다양해서 많은 사람들이 즐겨.. 서양 철학사 시리즈 2025. 2. 6.

엘레아 학파, 존재의 불변성을 선언하다 [#서양철학사 4]

안녕하세요, 오늘은 고대 그리스 철학사 시리즈의 네 번째 이야기로, ‘존재란 무엇인가’라는 근본적인 질문을 던진 엘레아 학파(Eleatic School)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남부 이탈리아 변방 엘레아(Elea) 지방에서 활동한 엘레아 학파가 서양 철학과 현대 과학에 미친 영향은 실로 어마어마합니다. 파르메니데스로 대표되는 엘레아 학파의 사유는 세계와 존재의 근원을 찾고자 하는 오늘날의 서양 사상과 과학적 논의의 바탕이 되었습니다. 어쩌면 오늘날에도 우리는 이들의 사고방식으로 현대를 살아가는지도 모릅니다. 그래서 다소 난해하게 느껴질 수 있는 그들의 사상을, 우리의 일상적 경험과 연결지어 이해해보도록 하겠습니다.엘레아 학파의 형성과 중심 사상엘레아 학파는 현재의 이탈리아 남부 벨리아(Velia).. 서양 철학사 시리즈 2025. 2. 5.

피타고라스 학파, 숫자로 우주를 해독하다 [#서양철학사 3]

안녕하세요, 오늘은 철학과 수학의 경계를 허문 최초의 사상가 집단, 피타고라스 학파(Pythagorean School)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피타고라스 학파는 잘 몰라도 ‘피타고라스의 정리’에 대해서는 한 번쯤 들어본 기억이 있을 것입니다. 물론 피타고라스 자신이 직접 이 정리를 발견한 것인지에 대해서는 증명하기 어렵지만, 그의 이름을 딴 이 수학적 개념만은 현재까지도 이어져 내려오고 있습니다. 그만큼 피타고라스 하면 ‘수(數)’를 먼저 떠올리게 됩니다. 그의 정리는 심플하지만 그의 사상과 생애는 그리 단순하지 않았습니다. 오늘은 고대 그리스 철학사 시리즈의 세 번째 이야기로, 신비주의적 종교집단이자 철학자 집단이었던 피타고라스 학파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피타고라스의 생애와 학파의 형성피타고라스(.. 서양 철학사 시리즈 2025. 2. 5.

밀레토스 학파: 최초의 서양 철학자들의 등장 [#서양철학사 2]

밀레토스: 이성의 요람이자 철학이 탄생한 도시유구한 서양 철학사의 첫 장을 장식하는 밀레토스 학파는 “최초”라는 수식어를 갖고 있습니다. 바로 신화라는 안개를 걷어내고 이성의 빛으로 세계를 바라본 선구자들이었기 때문입니다. 기원전 6세기에 번영한 도시 밀레토스에서 활동한 이들은 “아르케(arche)” 즉 만물의 근원을 탐구했습니다. 이는 과학적 사고라는 인류의 독창적인 정신적 유산을 만들어가는 초석을 쌓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오늘은 철학의 출발점에 선 그들의 사유를 살펴보고 현대적 관점에서도 평가해 보도록 하겠습니다.기원전 6세기, 아나톨리아 반도(지금의 튀르키예 지역) 서부 해안가에 위치한 밀레토스(그리스어: Μίλητος)는 당시 그리스 세계에서 가장 번영한 도시국가 중 하나였습니다. 이 도시가 최초.. 서양 철학사 시리즈 2025. 2. 4.

고대 그리스 식민지 시대의 철학: 최초의 서양 철학이 꽃피다 [#서양철학사 1]

고대 그리스의 시대적 배경과 식민지 확장의 의미안녕하세요. 오늘부터 서양 철학의 역사 속으로 긴 여행을 떠나보도록 하겠습니다. 오늘은 고대 그리스 시대 철학에 대해 본격적으로 알아보기에 앞서 그 시작이라고 할 수 있는 고대 그리스 식민지 시대 철학의 전반에 대해 개괄해 보고, 다음 포스팅부터는 학파별로 인물별로 구체적으로 정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고대 그리스 식민지 시대는 서양철학사의 시작을 파악하는 데 있어 매우 중요한 시기입니다.기원전 8세기부터 6세기에 이르는 시기, 그리스인들은 지중해와 흑해 연안을 따라 대대적인 식민지 건설을 시작했습니다. 이 시기는 단순한 영토 확장 이상의 의미를 지녔습니다. 본토 그리스의 인구 증가와 토지 부족이라는 현실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시작된 식민지 건설은 결과적으로.. 서양 철학사 시리즈 2025. 2. 4.
반응형